기준중위소득 변동추이 및 %별 중위소득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준중위소득이란 무엇인지 그 정의를 살펴보고, 과거의 기준중위소득 변동 추이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또한 중위소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정보를 빠르게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기준중위소득 뜻

기준중위소득은 일반적으로 중위소득이라고 불리며, 이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합니다. 이 지표는 매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 제2항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통해 고시됩니다. 기준중위소득은 국가가 특정 사회보장제도를 설계하고, 이러한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기준을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중위소득은 가구의 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거주급여는 기준중위소득 45% 이하의 가구에 지급되며, 청년월세지원은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의 가구에 제공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위소득은 다양한 사회보장 정책의 기준이 됩니다.

 

소득세율표 계산법(종합소득세율 / 근로소득세율)

 

기준중위소득

중위소득 45%와 중위소득 60%는 각각 특정 소득 기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중위소득 45%는 중위소득에 0.45를 곱한 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월 환산소득이 중위소득 60% 이하인 경우 지원 대상”과 같은 형태로 기준이 설정되며, 이때 퍼센트 수치가 높을수록 해당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의 범위가 넓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중위소득 60%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기준중위소득 추이

기준중위소득 확인방법

위 그래프는 2015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준중위소득 변동 추이를 보여줍니다. 그래프를 살펴보면, 기준중위소득 수치는 매년 꾸준히 상승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5년에서 2019년 사이에는 그 증가폭이 비교적 완만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부양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2021년부터는 증가율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근로자 및 사업자 근로소득세율 종합소득세율 계산 방법 알아보기(실효세율, 과세표준)

 

(단위: 원)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1인가구 1,562,337 1,624,831 1,652,931 1,672,105 1,707,008 1,757,194 1,827,831 1,944,812 2,077,892
2인가구 2,660,196 2,766,603 2,814,449 2,847,097 2,906,528 2,991,980 3,088,079 3,260,085 3,456,155
3인가구 3,441,364 3,579,019 3,640,915 3,683,150 3,760,032 3,870,577 3,983,950 4,194,701 4,434,816
4인가구 4,222,533 4,391,434 4,467,380 4,519,202 4,613,536 4,749,174 4,876,290 5,121,080 5,400,964
5인가구 5,003,702 5,203,849 5,293,845 5,355,254 5,467,040 5,627,771 5,757,373 6,024,515 6,330,688
6인가구 5,784,870 6,016,265 6,120,311 6,191,307 6,320,544 6,506,368 6,628,603 6,907,004 7,227,981

또한 포스팅의 처음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준중위소득은 가구의 인원수에 따라 달라지며, 2023년의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중위소득: 2,077,892원
  • 2인 가구 중위소득: 3,456,155원
  • 3인 가구 중위소득: 4,434,816원
  • 4인 가구 중위소득: 5,400,964원
  • 5인 가구 중위소득: 6,330,688원
  • 6인 가구 중위소득: 7,227,981원

2023년 기준중위소득을 토대로 기초연금, 주거급여, 생계급여 등 주요 사회보장제도에서 사용되는 소득 기준을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2023년 중위소득 45%는 935,051원이 되고, 중위소득 60%는 3,240,578원에 해당합니다.

기준중위소득 중위소득 45%  중위소득 60%  중위소득 80%
1인가구 ₩2,077,892 ₩935,051 ₩1,246,735 ₩1,662,314
2인가구 ₩3,456,155 ₩1,555,270 ₩2,073,693 ₩2,764,924
3인가구 ₩4,434,816 ₩1,995,667 ₩2,660,890 ₩3,547,853
4인가구 ₩5,400,964 ₩2,430,434 ₩3,240,578 ₩4,320,771
5인가구 ₩6,330,688 ₩2,848,810 ₩3,798,413 ₩5,064,550
6인가구 ₩7,227,981 ₩3,252,591 ₩4,336,789 ₩5,782,385
기준중위소득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20% 중위소득 150% 중위소득 180%
1인가구 ₩2,077,892 ₩2,077,892 ₩2,493,470 ₩3,116,838 ₩3,740,206
2인가구 ₩3,456,155 ₩3,456,155 ₩4,147,386 ₩5,184,233 ₩6,221,079
3인가구 ₩4,434,816 ₩4,434,816 ₩5,321,779 ₩6,652,224 ₩7,982,669
4인가구 ₩5,400,964 ₩5,400,964 ₩6,481,157 ₩8,101,446 ₩9,721,735
5인가구 ₩6,330,688 ₩6,330,688 ₩7,596,826 ₩9,496,032 ₩11,395,238
6인가구 ₩7,227,981 ₩7,227,981 ₩8,673,577 ₩10,841,972 ₩13,010,366

지금까지 ‘기준중위소득이란’이라는 주제로 그 정의와 최근 몇 년간의 기준중위소득 변동 추이, 그리고 2023년의 중위소득 45%, 60%, 80%, 100%, 120%, 150%, 180%에 해당하는 수치를 살펴보았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사회보장제도의 기준에 대해 보다 명확히 이해하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정부지원 서민대출 등 각종 제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정부지원 서민대출 종류 및 상황별 적합한 상품 총정리

Leave a Comment